logo

쉽게 무너지지 않으려면

1. 작은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지 않기 2. 밝고 희망찬 생각을 하려고 노력하기 3. 행복을 서두르지 않기 4. 안심하고 마음에 여유를 가지기 5. 스스로에게 위로를 건네기…

속도보다 중요한 건 방향이다.

남보다 빠르게 가지 않아도 괜찮아요. 내가 가고 싶은 곳을 향하고 있다면, 이미 잘 가고 있는 중입니다. 당신의 걸음은 결코 늦지 않았어요.

한 번도 해보지 않았다면, 해볼 이유는 충분하다.

익숙한 일상은 편하지만, 새로운 도전은 나를 바꾼다. 망설여지는 그 순간이 기회다.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다. 처음 해보는 그 일이,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꼭 쥐고 있어야 내 것이 되는 것은 진짜 내 것이 아니다

꼭 쥐고 있어야 내 것이 되는 것은 진짜 내 것이 아니다. 잠깐 놓았는데도 내 곁에 머무를 때 그 사람이 바로 내 사람이다.

걱정은 미래를 바꿀 수 없지만, 잔소리는 현재를 무너뜨린다.

미래에 일어나지도 않은 일을 미리 걱정하며 잔소리를 늘어놓는다면, 상대방은 두 가지를 놓친다. 하나는 자신의 경험과 선택의 기회, 다른 하나는 현재의 소중함이다. 걱정이 아…

존중은 존재의 무게를 인정하는 것.

“진짜 존중은 말로 하는 게 아니라, 상대의 존재 자체를 가볍게 여기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1. 말 없는 건 자유지만, 그 자유가 관계를 망치고 있다는 건 아셔야 합니다.…

말로 찌르지 말고, 마음을 열어라

"상처로 바꾸려는 말은 결국 그 사람을 멀어지게 만든다. 진정한 변화는 사랑과 존중에서 시작된다."

당신 모습 그대로

"바꾸려고 하지 마세요. 당신 모습 그대로 충분해요."

찬란한 오늘을 위한 약속

작은 기쁨을 놓치지 않고, 나답게 당당히 살아가자.

행복은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다.

이 명언은 행복이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어제의 실패는 오늘의 성공을 위한 발판이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것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라는 의미입니다. 당신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이미 반은 이룬 것이다. - 자신에 대한 믿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

회원로그인


평생교육사 정보
 

[이슈토크] 충남 문해교육 성과와 과제는?


우리 지역의 다양한 이슈와 현안들을 심층적으로 풀어보는 헬로 이슈토큽니다.

9월은 문해교육의 달이라는 거 알고 계신가요?

글을 읽고 이해하는 문해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매년 기념행사도 열리고 있습니다.

얼마 전 충남에서도 문해교육한마당 행사도 펼쳐졌는데요. 늦은 나이에 평생 소원이었던 배움의 길을 걷는 어르신들에게 문해교육은 새로운 활력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충남 지역의 문해교육 현황과 성과, 앞으로의 과제까지 짚어보는 시간 준비했는데요.

충남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의 임세영 문해교육팀장과 함께합니다.

Q. 팀장님, 9월이 ‘문해의 달’로 선포된지 어느새 10년이 됐다고 하죠. 문해의 달 지정 의미와 함께 문해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 먼저 짚어주시면 어떨까요.

Q. 충남 지역에서도 매년 문해교육 한마당을 개최해오고 있고요. 문해교육 10년의 성과를 함께 나누기 위한 학습자 시화작품 전시 등 다양한 행사들을 마련해 운영한 걸로 아는데요. 직접 소개를 좀 해주신다면?

Q. 충남 지역의 문해교육 현황도 궁금한데요. 어떤 분들을 대상으로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고 있는 건가요? 

Q. 문해교육이라고 하면 단순히 글자를 배우는 정도로 생각하는 분들도 계실 텐데요. 교육 내용은 어떻게 구성이 되는 건가요?

Q. 교육을 받는 분들 대부분 나이가 좀 지긋한 분들이 많으시잖아요. 늦은 나이에 뭔가를 배우고 도전한다는 게 쉽지 않은 일이고, 문해교육에 직접 참여하기까지 큰 결심도 필요할 것 같은데요. 현장에서 만나보시면 어떻습니까?

Q. 그럼에도 용기를 내서 하나하나 배워가는 모습을 보면, 뿌듯하고 소회도 남다르실 것 같아요?

Q. 특히 기억에 남는 분이 계시다면?

Q. 교육 내용을 보완하고 발전 시켜가는 것도 진흥원의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을 텐데요. 빠르게 기술이 발전하는 상황 속에서 디지털 문해교육이라는 것도 등장했습니다. 충남교육청과 함께 교육 자료도 개발한 걸로 아는데요. 이 부분도 짚어주신다면요?

Q. 요즘 키오스크 주문이나 계산이 일상화되고 있는 만큼, 어르신들이 어려울 수 도 있는 이런 변화에 잘 적응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 같은데요. 실제 교육 현장에서의 반응이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Q. 진흥원의 다양한 시도와 노력으로 성과를 인정받았다는 반가운 소식도 얼마 전에 전해졌는데요. 충남평생교육인재육성진흥원이 정보문해교육 분야에서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하죠. 직접 자랑 좀 해주세요.,

Q. 디지털문해교육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렇게도 볼 수 있을 텐데요. 디지털 시대, 문해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 설정이나 계획도 짚어주신다면요?

12. 방송을 보고 나도 교육에 참여하고 싶다, 우리 부모님이 한 번 공부해보시면 좋겠다, 생각하는 분들 많으실 것 같은데요. 함께하는 방법도 소개해주신다면요?

13. 마지막으로 방송을 통해서 전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해주시죠.

평생교육사 역량강화교육

최신글

실시간 인기 검색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