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존중은 존재의 무게를 인정하는 것.

“진짜 존중은 말로 하는 게 아니라, 상대의 존재 자체를 가볍게 여기지 않는 데서 시작된다.” 1. 말 없는 건 자유지만, 그 자유가 관계를 망치고 있다는 건 아셔야 합니다.…

말로 찌르지 말고, 마음을 열어라

"상처로 바꾸려는 말은 결국 그 사람을 멀어지게 만든다. 진정한 변화는 사랑과 존중에서 시작된다."

당신 모습 그대로

"바꾸려고 하지 마세요. 당신 모습 그대로 충분해요."

찬란한 오늘을 위한 약속

작은 기쁨을 놓치지 않고, 나답게 당당히 살아가자.

행복은 우리가 선택하는 것이다.

이 명언은 행복이 외부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선택에 달려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어제의 실패는 오늘의 성공을 위한 발판이다

-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그것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라는 의미입니다. 당신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면, 이미 반은 이룬 것이다. - 자신에 대한 믿음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

회원로그인


자료실
 

한국의 교육지표 (2023) - 요약 및 평생교육사 입장에서의 분석


교육부 홈페이지에 등록된 한국의 교육지표(2023) 현황입니다.

요약 및 분석

[한국 학생들의 교과 정의적 특성 및 학업 성취도]

1. 국어, 수학, 영어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
    • 학생들의 자신감, 가치, 흥미, 학습의욕이 학업 성취도와 밀접한 관련
    • 고등학교와 중학교 학생의 각 교과별 정의적 특성에 따라 성취도 차이 발생

2. 2022년 정의적 특성 비율
    ■ 중학교 학생 기준
        • 국어: 자신감 43.1%, 흥미 45.6%, 학습의욕 68.9%
        • 수학: 자신감 41.1%, 흥미 47.0%, 학습의욕 50.7%
        • 영어: 자신감 45.4%, 흥미 45.4%, 학습의욕 71.4%
    ■ 고등학교 학생 기준
        • 국어: 자신감 42.3%, 흥미 36.8%, 학습의욕 69.1%
        • 수학: 자신감 32.2%, 흥미 40.7%, 학습의욕 47.9%
        • 영어: 자신감 43.8%, 흥미 46.9%, 학습의욕 67.5%

3. 학업 성취와의 연관성
    • 정의적 특성이 높을수록 학업 성취도도 높은 경향
    • 자신감과 흥미가 높은 학생들이 기초학력 미달 비율에서 벗어나 보통학력 이상 유지
    • 수학에서 정의적 특성 비율이 낮아, 교육적 지원과 흥미 유발 프로그램 강화 필요

4.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차이
    • 대도시 학생이 읍 면 학생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성취도
    •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자신감과 학습의욕이 높은 경향
    • 국어에서는 대도시와 읍 면 간 성취도 차이가 적지만, 수학과 영어에서는 차이가 크게 나타남

<개선 방향>
    • 수학 성취도 향상을 위해 정의적 특성을 높이는 교육적 접근 필요
    • 읍 면 지역과 남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원 프로그램 요구
    • 교과 흥미와 자신감 제고가 학업 성취 향상에 중요하므로, 각 교과별 특성화된 지원 방안 강조

[평생교육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2023 한국 교육지표 주요 정보]

1. 성인 비문해율과 교육 필요성
    • 한국 성인의 문해 능력 개선 추세
    • 문해 수준 1 이하 성인 비율 존재: 비 문해 성인 대상 교육 프로그램 설계 필요
    • 평생교육사 역할: 성인 문해 교육을 통한 기본 문해 능력 향상 지원​

2. ICT 역량 및 태도
    • 한국 성인의 ICT 활용 능력 평균 이상 (OECD 주요국 대비)
    • 일부 연령층 및 소외 계층의 낮은 ICT 활용도
    • 평생교육사 역할: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을 통한 디지털 격차 해소​

3. 고등교육 이수율과 고용률
    • 고등교육 이수율: 한국이 OECD 평균보다 높음
    • 고등교육 이수 성인의 높은 고용 안정성
    • 평생교육사 역할: 학위 취득 및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성인 학습자의 고용 기회 확대 지원​

4. 교육 수준별 고용률
    • 고등교육 이수자의 고용률이 더 높음: 교육이 경제적 안정성에 기여
    • 평생교육사 역할: 고용에 유리한 프로그램 설계 및 교육의 중요성 강조​

5. 성인 학습 참여 및 만족도
    •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학습 만족도
    • 학습자 심리적 안정과 사회적 성취감에 기여
    • 평생교육사 역할: 프로그램 질 개선 및 학습자 중심 교육 강화​

평생교육사 역량강화교육

최신글

실시간 인기 검색어